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생성자
- git
- 어노테이션
- 서버
- spring
- 정처기
- Docker
- Groovy문법
- 빌드스크립트
- aws
- 빌드자동화도구
- 롬북
- 롬복
- CICD
- 정처기필기
- API
- 정보처리기사
- 프로그래머스
- controller
- 정보처리기사필기
- PULL방식아키텍쳐
- 자바
- 무중단배포
- 알고리즘
- 시계열디비
- 정처기공부
- 완전탐색알고리즘
- Java8
- 롬복사용시주의할점
- java
Archives
- Today
- Total
우당탕탕 개발일지
[Spring] @Controller 와 @RestController 차이 본문
👇 일반적으로 컨트롤러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View로 반환하여준다.
📚 spring에서 컨트롤러를 지정해주는 어노테이션은 @Controller와 @RestController 가 있다.
📌 @Controller 란?
- 주로 View를 반환하기 위해 사용한다.
👉 Model 객체를 만들어 데이터를 담아 View를 반환한다. - @Controller에서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해선 @ResponseBody 어노테이션을 함께 사용해야한다.
import org.springframework.stereotype.Controller;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ponseBody;
@Controller
@ResponseBody
public class ArticleRestController {
}
📌 @RestController 란?
- RESTful 웹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특수 컨트롤러로 @Controller + @Response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.
- @Controller와 다르게 View를 반환하는 것이 아닌 객체데이터를 반환한다.
- 데이터 형식은 JSON 또는 XML형식으로 HTTP 응답에 담아 전송한다.
- 모든 메서드가 View 대신 객체로 작성이 되어진다.
import org.springframework.web.bind.annotation.RestController;
@RestController
public class ArticleRestController {
}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ResponseEntity 이란? (0) | 2022.12.22 |
---|---|
💡 JWT(JSON Web Token) 이란? (0) | 2022.12.09 |
빌더 패턴(Builder Pattern) / 빌더 어노테이션(@Builder) (0) | 2022.11.23 |
[Spring] TDD(Test-Driven-Development), 테스트 주도 개발 정리하기 (0) | 2022.11.18 |
[Spring] MVC 패턴이란? (0) | 2022.11.12 |